@GetMapping("/testResponseEntity")
public ResponseEntity<?> testControllerResponseEntity() {
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
list.add("Hello World! I'm ResponseBody. And you got 400!");
ResponseDTO<String> response = ResponseDTO.<String>builder()
.data(list)
.build();
return ResponseEntity.badRequest().body(response);
}
질문 주제: ResponseDTO<String>.builder() 문법 사용 여부
Java에서는 'ResponseDTO<String>.builder()'와 같은 문법을 사용할 수 없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제네릭은 클래스의 인스턴스 타입에 적용된다
ResponseDTO<String>은 제네릭 클래스의 인스턴스 타입을 지정하는 것이고, 정적 메서드(즉, builder()와 같은 정적 팩토리 메서드)와는 무관하다. 정적 메서드는 클래스 레벨에서 동작하므로, 특정 제네릭 타입이 클래스 레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제네릭 클래스의 인스턴스 타입을 지정 한다' 부가 설명
제네릭 클래스의 인스턴스 타입을 지정한다는 건, 제네릭 클래스가 처리할 데이터의 타입을 미리 정한다는 뜻이야.
예를 들어:
ResponseDTO<String> response = new ResponseDTO<>();
여기서 ResponseDTO<String>은 **"이 객체는 String 타입 데이터를 처리한다"**고 지정한 거야.
반대로 ResponseDTO<Integer>라면, **"Integer 타입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의미가 되는 거지.
즉, 제네릭 클래스는 여러 타입에 대해 동작할 수 있는데, 인스턴스를 만들 때 그 타입을 정하는 것이라고 보면 돼!
- 예를 들어
ResponseDTO<String>.builder() // 컴파일 에러
위 코드는 정적 메서드 호출과 제네릭 인스턴스화를 혼동한 잘못된 문법이다.
2. 정적 메서드는 클래스 타입과 독립적
Java에서는 정적 메서드가 클래스 타입 매개변수(T)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정적 메서드 내부에서는 클래스의 제네릭 타입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없으며, 이를 호출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ResponseDTO<String>.builder()**는 불가능하다.
3. 제네릭 메서드 타입 명시
ResponseDTO.<String>builder()는 제네릭 메서드 타입 명시 문법이다. Java 컴파일러가 타입 추론을 잘못하거나 명확하지 않을 때, 이를 사용해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한다.
- 예시
ResponseDTO<String> response = ResponseDTO.<String>builder()
.data(dataList)
.build();
대안: 일반적인 정적 메서드 호출
만약 타입 추론이 명확하다면, <String>을 생략하고 간단히 사용할 수도 있다:
ResponseDTO<String> response = ResponseDTO.builder()
.data(dataList)
.build();
1번: 왜 ResponseDTO<String>.builder()는 안 될까?
- ResponseDTO<String>은 **"String을 담을 수 있는 ResponseDTO 객체"**라는 뜻이야.
- 그런데 builder()는 **정적 메서드(static method)**라서 클래스의 객체가 필요하지 않아. 즉, builder()는 ResponseDTO 클래스 그 자체에서 동작하고, 제네릭 타입(String 같은 것)은 정적 메서드와는 아무 상관이 없어.
- 그래서 ResponseDTO<String>.builder()처럼 특정 타입을 붙여서 호출하려고 하면 **"정적 메서드는 클래스 레벨에서만 동작한다"**는 규칙 때문에 에러가 나.
2번: ResponseDTO.<String>builder()는 뭐고, 왜 쓰는 거야?
- 보통은 ResponseDTO.builder()처럼 쓰면, 컴파일러가 알아서 타입을 추론해줘. 예를 들어:
ResponseDTO<String> response = ResponseDTO.builder()
.data(list)
.build();
- 여기서 list가 List<String> 타입이면, 컴파일러는 "아, 이거 String 타입이네"라고 자동으로 알아챔.
- 하지만 컴파일러가 헷갈리는 경우가 있어. 예를 들어 메서드 안에 여러 제네릭 타입이 얽혀 있거나, 명확하지 않은 상황. 이럴 땐 "야, 이거 String 타입이야!" 하고 직접 알려주는 방식이 필요하고, 그게 바로:
ResponseDTO.<String>builder()
이런 문법이야. 제네릭 타입을 빌더 메서드 호출 전에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방법이지.
쉽게 요약
- 왜 ResponseDTO<String>.builder()는 안 돼?
→ 정적 메서드(builder())는 클래스 전체에서 쓰는 거라 특정 타입(String)을 붙여 호출할 수 없어. - 왜 ResponseDTO.<String>builder()는 돼?
→ 컴파일러가 타입을 제대로 추론하지 못할 때, "이건 String이다"라고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문법이야.
"클래스 전체에서 쓰는 것"의 의미
"클래스 전체에서 쓴다"는 말은 **정적(static) 멤버(메서드나 필드)**가 **특정 객체(instance)**에 묶이지 않고, 클래스 자체에 속한다는 뜻이야.
객체와 클래스의 차이 간단히 이해하기
- 클래스는 설계도.
- 객체는 설계도를 바탕으로 실제 생성된 인스턴스.
예를 들어, ResponseDTO라는 클래스가 있고, 이 클래스에서 객체를 여러 개 만들 수 있어:
ResponseDTO<String> dto1 = new ResponseDTO<>();
ResponseDTO<Integer> dto2 = new ResponseDTO<>();
위에서 dto1과 dto2는 서로 다른 객체야. 하지만 정적(static) 멤버는 dto1이나 dto2 같은 객체에 소속되지 않고, ResponseDTO 클래스 자체에 속해. 클래스 레벨에서 동작한다는 거지.
정적(static) 멤버의 특징
- 객체가 없어도 호출 가능
정적 멤버는 객체를 생성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어.
ResponseDTO.builder(); // 객체 없이 호출 가능
- 객체와 독립적
정적 멤버는 특정 객체에 묶이지 않고, 클래스 자체에 속함.
따라서 이런 식으로 호출할 수는 없음:
ResponseDTO<String>.builder(); // X (문법 오류)
- 클래스 이름으로 직접 호출
정적 멤버는 항상 클래스 이름으로 직접 호출한다.
Math.abs(-5); // Math 클래스의 정적 메서드 abs() 호출
정적 메서드와 일반 메서드 비교
특징정적 메서드일반 메서드
호출 방식 | 클래스 이름으로 호출 (ResponseDTO.builder()) | 객체를 통해 호출 (dto.build()) |
객체 필요 여부 | 필요 없음 | 객체가 있어야 함 |
멤버 변수 접근 | 정적 필드만 접근 가능 | 인스턴스 필드와 정적 필드 모두 접근 가능 |
사용 목적 | 공통적인 동작 구현 (예: 유틸리티 메서드) | 객체별로 동작이 달라야 할 때 사용 |
그래서 **ResponseDTO.<String>builder()**는 왜 되는데, **ResponseDTO<String>.builder()**는 왜 안 될까?
- ResponseDTO.builder()는 정적 메서드
- builder()는 객체 없이 클래스 자체에서 호출할 수 있는 정적 메서드임.
- 그래서 객체와 관련된 타입(예: ResponseDTO<String>)을 붙여 호출하면 안 됨.
- 제네릭 타입은 객체와 연결됨
- ResponseDTO<String>은 "String을 담는 객체"라는 의미지, 클래스 자체와는 관련이 없음.
- 하지만 ResponseDTO.<String>builder()는 정적 메서드에 제네릭 타입을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문법이라 가능.